전체 글293 [Linux]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- Container Orchestration - Container 배포, 관리, 확장, 네트워킹을 자동화 함 - 여러 Container의 배포 프로세스 최적화 - Container와 Host 수가 증가할수록 유용함 (ex. 100~1000개의 Container 관리) - Container 자동 배치 및 복제 - Container 그룹에 대한 로드 밸런싱 - Container 장애 복구 - Container 외부에 서비스 노출 - Container 추가 또는 제거로 확장 및 축소 - Container 서비스 끼리 interface를 통해 연결 & 네트워크 포트 노출 제어 - 재설계할 필요 없이 각기 다른 환경 전반에 동일한 application을 배포하는데 유용 - Container에 마이크로서비스를 구.. 2022. 7. 18. [Network] CIDR 이란? - Classless Inter-Domain Routing 의 약자 - 네트워크 라우팅을 위해 여러 subnet을 효과적으로 그룹화 가능하며 '수퍼넷팅(Supernetting)'이라고도 불림 - 클래스 없는 domain 간 routing 기법 (IP address 할당 방법) - 여러 개의 클래스 C 주소를 하나의 network 또는 라우트로 결합하는 방법 - 과거 서브넷 마스크의 한계로 라우트 구성 등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- CIPR address 사용 시 라우팅 table의 크기를 줄이고 user 비즈니스 내에서 더 많은 IP address 를 사용 가능 - CIDR을 통해 근접한 클래스 C address 를 서브넷 마스크를 통해 단일 network address 범위로 결합 가능 =.. 2022. 7. 17. [Network] 0.0.0.0 이란? - '모든 IP' 를 의미 - IPv4 패킷을 전송하려는 컴퓨터가 자신의 IP주소를 모르는 경우, 통신하기 위해 사용 - 자신의 IP주소를 모르는 컴퓨터는 부트스트랩(컴퓨터 전원을 끄거나 재부팅 시)을 할 때 위 IP 주소를 사용 - 이 신호를 보낸 컴퓨터는 자신의 주소를 알기 위해 이 주소를 발신지 주소로 설정하고, 목적지 주소로 255.255.255.255로 설정한 IP패킷을 DHCP서버로 전송. DHCP 서버는 신호를 받은 후 해당 PC에 IP주소를 알려주며, PC는 해당 주소를 자신의 IP주소로 삼음. - 범용 장치 주소로 사용 불가 - 일반 주소처럼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론 '자리 표시자 주소' 이거나 '할당된 일반 주소가 없음' 을 나타내는 address ==> 프로그램 네트워크 영역에 IP주소.. 2022. 7. 16. [Python] Python module source 보기 - 가끔 너무 궁금할 때 python module 구조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궁금하여 뜯어본다. - 구글링해보니 module 자체를 뜯어서 공유하는 이가 거의 없어 방법을 공유한다. """ random module을 console로 확인 """ import inspect import random code = inspect.getsource(random) print(code) - 본인은 내장함수인 set()을 찾고 싶었으나 에러가 뜬다. import inspect code = inspect.getsource(set) print(code) ==> [결과] # TypeError: is a built-in class # built-in 된 내장함수는 코드나 경로로 못찹음 https://github.com/pyt.. 2022. 7. 15. [Network] 4Way Handshake 의 마지막 응답 확인은 어떻게 이뤄지나? * FIN > ACK > FIN > ACK 로 주고 받음 * 서버가 보낸 FIN에 대한 응답이 빨리 오지 않으면 server가 재전송(FIN + ACK) ==> 그렇기에 재전송 시간보다 길게 대기했다가, 아무것도 안 오면 종료 * Client 는 확인 의미로 ACK를 보내고 TIME_WAIT 상태가 되며, Server는 ACK 패킷을 수신 후 CLOSED 상태가 된다. Client는 2MSL(Maximum Segemnt Life) 만큼의 시간이 지난 후 CLOSED 된다. 개발자 오픈카톡방 2022. 7. 14. [Java] Throw Exception 과 Try Catch Finally 차이 - Throw나 Try나 예외처리에 쓰이는데, 정확히 실무에서 어떻게, 왜? 쓰이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다(이래서 책이 싫다) - 개발자 그룹의 오픈카톡방에서 누군가 정리한 내용을 올린다. (1) Throw Exception - 그냥 던짐 - 자주 발생하는 bug에 쓰임 (server 점검 메시지, 서버 점검 알림 팝업창 등) - 정말 예측불가한 뜬금없는 예외 발생시 쓰임 ==> code logic 과 연관없는 시스템적 or 서버단에서 발생한 예외 사항에 쓰임 (2) Try Catch Finally - 예외가 나오면 검출하고 그에 맞게 처리까지 함 - 즉, 예외가 예상되는(logic 상의 문제) 곳에 쓰임 오픈 카톡방 2022. 7. 13. [Java] This 란? - 자신이 속한 객체 or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 참조 변수 - 객체의 property나 method를 참조하기 위해 쓰임 ==> 객체 method 내부 or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만 쓰임 ==> 객체 지향 언어는 class-캡슐화를 통해 외부 vs 내부로 분리됨. 이로 인해 instance 내부에서 사용하는 로직이 필요할 때 쓰이는게 this. -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pointer - 파라미터 no와 staff 변수인 no 구별 https://smoothiecoding.kr/%EC%9E%90%EB%B0%94-this-%EC%9D%98%EB%AF%B8/ 2022. 7. 12. [Basic] 개발자 구직&이직 준비 - 근래 1달 사이 주위 개발자 4-5명이 이직하였다 - 이직이 잦다고는 들었는데, 직접 보니 느낌이 확연히 다르다 - 구직과 이직 준비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자 - Portfolio(포폴) 관리 (1) github에 프로젝트 및 작업물 업데이트 (잔디 심기) & Readme 에 markdown 으로 정리 => 아래 github 명령어를 연습할 수 있는 사이트 ref 참조 => https://learngitbranching.js.org/?locale=ko (2) 자신만의 포폴 web-page 만들기 ==> 배포할 때 heroku 추천(일정 사용량까지는 무료!, aws는 1년 제한 있음) (3) pdf에 정리 ==> 한글 파일 절대 금지(서류 광탈, 궁금하면 해봐도 좋음 ^^) ==> word 및 ppt .. 2022. 7. 11. 이전 1 ··· 18 19 20 21 22 23 24 ··· 37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