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git 영역 정리>
1) Working Directory (Local)
=> 개인 코드 작성
2) Staging 영역
=> git add 를 통해 수정된 코드를 올리는 영역
3) Repository
=> git commit을 통해 최종 수정본 제출
<git 저장소에 commit 방법>
gitbash 를 엶 or VScode 의 터미널 open
$ git config --local user,name "사용자 이름"
=> 사용자 이름 등록
$ git config --local user.email "사용자 이메일"
=> 사용자 이메일 등록
$ git config --list
=> 사용자가 설정한 모든 것을 보여줌. 설정 확인하자
$ git init
=> repository 에 가장 먼저 해야할 초기화
$git add .
=> 현재 directory의 모든 변경 내용을 staging 영역으로 넘김
$ git reset HEAD
=> stagin 영역 clear (add한 것들 취소한다는 의미)
$ git commit -m "first commit"
=> commit 분기 생성
$ git remote add origin "저장할 Repository 의 URL"
=> 저장할 Repository로 사용자의 Source Code 를 전송
=> origin은 remote repository의 이름으로, 다른 이름으로 바꿔도 됨
$ git remote -v
=> remote 저장소와의 연결 확인
$ git branch "생성할 이름"
=> branch 형성.
=> default name 은 "main" (default name이 "master"인건 과거 버전)
$ git branch
=> 존재하는 branch 확인
$ git checkout "변경할 branch 이름"
=> branch 변경
$ git merge [병합할 branch 이름]
=> branch 병합
$ git branch -d [삭제할 branch 이름]
=> branch 삭제
$ git push origin [branch 이름]
=> 전송
=> git push [origin라는 저장소][master 라는 branch]
=> $ git push origin +master (강제 push)
$ git log
=> commit 이력 확인
$ git pull
=> 타인의 Remote Repository에 update한 파일이 있을 때, Remote 저장소와 내 local 저장소를 동일하게 만드는 기능
[pull 했을 때, Remote 저장소와 Local 저장소 동기화]
=> pull만 해서는 code 동기화가 이뤄지지 않는다.
$ git fetch --prune origin
=> fetchfmf 통해 remote tracking brach (origin/master)를 remote 저장소와 일치
=> fetching 전, remote 저장소에 존재하지 않는 remote tracking branch 삭제
$ git reset --hard origin/master
=> local branch의 코드를 remote 저장소와 일치
$ git clean=> 작성중인 코드 삭제
<작성 글에 포함된 내용은 없으나 참고하면 유용한 사이트>
https://coding-groot.tistory.com/97
Commit하기 위해 필요한 Git 설정하기 :: git config (system vs global vs local)
Git 튜토리얼 3 Git을 사용하기 위해 해야하는 최초 설정 "버전"은 Git에서 "Commit"이라고 부릅니다. 그래서 "Commit한다"는 "하나의 버전으로 기록한다"라는 말과 같은 말입니다. Git은 파일을 Commit을
coding-groot.tistory.com
<참조>
Git - Git 최초 설정
Vim과 Emacs, Notepad++은 꽤 인기 있는 편집기로 개발자들이 즐겨 사용한다. Mac이나 Linux 같은 Unix 시스템, Windows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하다. 여기서 소개하는 편집기들이 불편해서 다른 편집기를 사
git-scm.com
Git 사용 방법 정리(commit, push, pull request, merge 등)
Git git 개념 및 명령어 정리 개인 개발을 넘어, 공동 개발에서 효율적인 코드 형상 관리를 하기 위함. Git 영역 (1) Working Directory (Local) : 개인 코드 작성 (2) Staging 영역 : git add 를 통해서 수..
wordbe.tistory.com
[git] 원격 저장소와 local저장소의 소스코드를 일치시키는 방법
원격 저장소(깃헙)의 소스코드와 로컬 저장소의 소스코드를 일치키는 방법을 알아보다 부가적으로 다양한 지식을 알게 되었습니다. 해당 내용을 공유합니다. 명령어만 빠르게 확인하고 싶으시
spoit.tistory.com
'Programing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Git 활용 예제 (0) | 2022.05.30 |
---|---|
[GIT] GitHub 프로젝트 보안 (0) | 2022.05.16 |
[GIT] Git vs Github 차이 (0) | 2022.05.15 |
[GIT] GIT 설치 및 관리 (with VScode, win10) (0) | 2022.05.13 |
댓글